POPARI의 희로애락

 스필버그는 1977년 그 자신 최초의 SF영화 <미지와의 조우>를 만들었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외계인은 단순히 호의적인 것을 넘어서 우주 시대를 맞는 인류에게 희망적 메시지의 전달자로까지 비추어진다. 스필버그가 외계에 대해 갖는 호감은 5년 후 제작한 <E.T.>에서도 드러났고, 최근의 <A.I>까지 줄곧 이어져 그 자신 작품 성향의 일관된 축을 이룬다. <스몰 솔져>에서는 ‘외계와의 만남’(여기서는 우주에서 온 외계인이 아니라 장난감들이지만, 인간의 세계와 다르다는 점에서 외계라고 할 수 있다)이 초래할 수 있는 긍정과 부정의 양면을 보여주었지만, 결국 그가 주장하고 싶은 것은 인간이 외계 존재들과 호의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반면 팀 버튼이 판타지와 SF영화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그렇게 장밋빛이 아니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가위손>에서도 그는 슬프고 비극적인 결말을 택했다. 사람들에게 이용당하고 결국 배척 당하는 인조인간 에드워드를 통해, 참으로 ‘이상한 동물’인 인간의 여러 모습들을 까뒤집어 보인다. 특별한 주연 배우 없이 여러 캐릭터들이 뒤죽박죽으로 등장하는 <화성 침공>에서도, 버튼은 공상적 분위기 속에서 이야기를 전개하지만 자신의 철학을 잃지 않는다. 비행접시를 타고 지구에 나타난 화성인은 자신들을 환영하기 위해 네바다 사막에 집결한 지구인들을 무참하게 살육한다. 외계와의 만남은 우호적이기는 커녕 새로운 전쟁의 시작을 암시한다. 더 나아가 화성인들은 지구에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고, 지구인들은 속수무책이다. 외계인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는 우리 마음대로가 아니고 그들 마음 대로이다. 팀 버튼은 최근 SF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냉소적인 철퇴를 가한 것이다. 외계인이 지구인에 호의적일 것이라는 근거는 어디 있는가? 그것은 인간의 논리에 기준해서 추정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버튼의 이러한 시니컬한 입장은 단순히 냉소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이 세상의 다양성이다. 지구에 각양각색의 인간들이 있고 이들이 마주치는 문제의 해결책도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의외의 해결책은 타인의 이상함을 묵살하지 않고 다양성을 보존하고 있을 때 가능하다. 그것은 지구를 구하는 방법에서 엿볼 수 있다. 어떤 권력자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지구를 구하는 것은 인간의 사회에서 평소 소외된 사람들이다. 치매를 앓아 요양원에 수용되어 있는 할머니가 매일 듣는 올드 팝송이 화성인들의 공격에 초토화된 지구에서 유일한 방어책이 된다. 화성인들은 이 노래만 들으면 모두 두뇌 파열로 죽는다. 결국 지구를 구한 것은 ‘괴짜 할머니’와 그를 도와주는 ‘괴짜 손자’이고, 화성인들에게 치명적인 무기는 핵무기도 첨단 무기도 아닌 ‘흘러간 옛노래’이다.

  스필버그와 팀버튼은 모두 동화적 상상력에서 뛰어남을 보인다. 그러나 스필버그가 동화 세계 내부에 침잠하는 스타일이라면, 버튼은 동화 줄거리의 외연이 현실과 갖는 삼투압적 관계를 집어내 보고자 하는, 즉 현실 감각으로 세상을 직시하는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화성 침공>은 뒤죽박죽 만든 영화일지는 모르지만, 안이하게 만든 영화는 아니다. 이 영화는 관객에게 한바탕 웃으라고 하지만, 입안에 남는 씁쓸함과 머리 속에 남는 의문부호를 동반한다. 오히려 안이한 할리우드 영화계에 ‘팀 버튼 침공’을 시도한 영화인지도 모른다.

-김용석, <팀 버튼의 할리우드 침공>에서

Posted by pop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