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ARI의 희로애락

 세상이 어지럽고 잘못되어 갈 때, 나서서 지혜로운 가르침을 주고 직접 실천하여 본보기를 보이는 이들이 있다. 고려 중기의 불교 승려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1158~1210)도 그런 이로 꼽힌다. 당시 고려 사회는 민란이 거듭되고 무신정권이 등장하여 매우 혼란스러웠으며, 폭력의 공포가 난무하여 민심이 흉흉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눌은 불교의 본령을 부각시키고 이에 충실하자는 운동을 펴면서 수증론(修證論)*을 제시한다. 언뜻 보면 그는 현실을 버리고 종교의 세계에 침잠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지눌에게는 남다른 생각이 있었는데, 그것을 우리는 고전의 반열에 오른 <보조법어(普照法語)>에서 알 수 있다.

  <보조 법어>에는 그의 수증론과 관련된 내용들이 들어 있다. 첫째는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이라 일컫는 것으로, 지눌이 평생 매진한 정혜결사(定慧結社) 운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정’이란 바깥의 자극에 휘둘리지 않고 마음을 가라앉혀 망념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고, ‘혜’는 맑은 정신으로 세상의 실상을 환히 비추어보는 지혜를 가리킨다. 그 둘을 함께 닦는 수행법이 성적등지문인데, 그것은 성성하게 깨어 있는 정신, 그리고 망념을 가라앉힌 고요한 상태를 함께 유지하는 수행법이다.

  둘째는 ‘원돈신해문(圓旽信解門)’이라 일컫는 수증론이다. 지눌은 모든 중생이 본래 부처님인데 그것을 모르고 스스로 범부로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설령 그것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깨달음을 얻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포기하거나 뒤로 미루고 염불이나 하고 선행이나 쌓아 내생(來生)에 좋은 곳에 태어나는 데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이들이 많다고 생각했다. 지눌은 선지식(善知識)*의 인도를 받고 깊이 믿는 마음을 일으키면 자기 자신이 본래 부처임을 단박에 깨달을 수 있는데 왜 저급한 신행에만 매달리느냐고 비판한다. 그러면서도 지눌은 그 깨달음이 있다고 해서 저절로 부처님으로 살게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했다. 워낙 오랫동안 범부로서 살았던 습관에 속속들이 젖어 있기 때문에 치열한 수행과정으로 자신의 삶을 채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요컨대 지눌은 ‘돈오(頓悟)’ 즉, 자기의 본래 정체를 알아차리는 깨달음이 단박에 일어난 다음에는, ‘점수(漸修)’ 즉, 치열한 자기 수행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지눌이 이런 수증론을 강조한 것은 당시의 불교계가 본령을 망각하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실제로 지눌은 세속의 명리를 좇는 데 급급한 불교계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수증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면 이렇게 하여 지눌이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지눌은 불교의 영향력이 막강했던 때인 만큼, 자기 수련이라는 불교의 본령을 확고하게 세움으로써 당시 고려 사회의 질곡을 풀어내는 데 일조하는 것이 승려로서 취할 우선적인 태도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땅으로 인하여 넘어진 자는 땅으로 인하여 일어선다. 땅에 의지하지 않고 일어설 수는 없다.” <보조법어>에 나오는 말은 우리가 잘못 살아가는 것은 마음을 잘못 써서 그런 것이나 올바르게 되는 것 또한 바로 그 마음에 달렸다는 뜻이다. 지눌은 이 말을 통해 궁극적인 문제 해결은 저 밖 어디 다른 데에서 찾을 수 있는 게 아니며, 모든 문제를 우리가 만든 것이므로 우리 자신을 들여다보면 해결책이 보인다는 것을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러한 의문에 부딪혀 해답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그 어떤 책보다도 <보조법어>를 보면서 지눌과 밤새도록 선문답을 나눠 보는 것으로 시작하면 좋을 것이다. 그러면 그 사람은 지눌과 같은 좋은 스승을 얻게 될 것이다.

  *수증론(修證論):수행과 깨달음에 관한 이론

  *선지식(善知識):진리의 길을 가르쳐 주는 스승.

  *근기(根機):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

Posted by pop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