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ARI의 희로애락

  1980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출간된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은 이제는 고전의 반열(班列)에 올랐다. 이 소설의 배경은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격동기, 즉 인간 삶의 문법이 근본적으로 변화했던 시기다. 우리가 그 시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역사책을 읽어야 할지 모른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 <장미의 이름>이라는 소설을 읽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중세가 신이 지배하던 시대라면, 근대는 과학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중세에서 인간은 신앙으로 살고자 했다면, 근대에서 인간은 이성의 빛에 따라 살기를 희망했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사람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사고의 중심을 신에서 인간으로 바꾸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성취했다. 어떤 이는 이에 대해 전자는 암흑시대고, 후자는 계몽시대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런 빛과 그림자의 이분법은 중세 그 자체의 모습이라기보다는 근대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해 만든 논리다. 근대에도 문명의 빛과 그림자는 있지 않았던가? 중세적 삶의 문법과 근대적 삶의 문법 가운데 무엇이 더 옳으며 무엇이 더 좋은가를 현재 우리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에코가 우리에게 보여준 중세는 암흑시대가 아니라 신앙과 이성, 신성함과 세속적인 것이 섞여 있는 그야말로 빛과 그림자가 어우러진 회색지대다. 그가 재현한 중세는 마녀재판을 하는 광기의 시대일 뿐만 아니라 장서관을 미로처럼 설계할 수 있는 수학적 능력을 가진 지성의 시대였다.

  한편 중세에서 근대로의 천지개벽에 대한 수많은 학문적 연구가 있었지만 그 변화를 완전히 설명하지는 못했다. 그런데 에코는 “우리는 설명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도 이야기는 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장미의 이름>을 썼다. 역사는 실제로 일어났던 일회적인 사실들을 기록하지만, 문학은 일어났던 사실은 아니지만 일어날만한 개연성이 충분히 있는 일반사항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래서 전자보다는 후자가 더 많은 삶의 진실을 대변할 수 있다고 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처럼, 에코의 소설은 어느 역사책보다도 중세라는 낯선 세계를 가장 재미있고 또 진실되게 재현했다.

  역사를 공부하기 위해, 곧 현재에서 중세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지금 우리의 것과 다른 존재방식에 대해 존경심을 가져야 한다. 그렇다고 그 존재방식을 그리워 하라는 것이 아니다. 그것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해해야 한다는 말이다.  역사책을 읽기 전에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을 읽으면서 중세라는 세계로 여행을 떠나기를 권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김기봉 <움베르토 에코 '장미의 이름'>에서

Posted by pop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