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아래 글이 자신의 의도를 심하게 왜곡한 글이라 생각하는 원문 저자들은 저에게 연락 하시어 삭제 요청을 하시면 아래 글을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글의 내용에 제 지식 부족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 내용을 댓글로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글은 모두 교육청 모의고사나 출판사 모의고사 또는 문제집에 지문으로 제가 사용한 것이며, 제 허락 없이는 상업적 이용이 불가함을 밝혀 드립니다.
'귄 있다’란 말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특별히 외모적으로 빼어난 아름다움이 있는 것은 아니나 가볍지 않은 아름다움과 속 깊은 인간미가 배어난다는 정도의 의미 같다. 단 세 글자로 구성된 짧은 말에 담긴 의미를 접하면서, 나는 세상에 이처럼 함축적이고도 맛깔스러운 말은 드물다고 생각했다. 내 고향 충청도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말을 찾기 힘들다. 비단 이것뿐만이 아니어서, 전라도 말은 내게 색다른 언어적 경험이자 감성 지평의 확대였다.
운명공동체로서 하나의 모어(母語)를 사용하며 사는 사람들일지라도 어떤 느낌이나, 현상, 사물을 가리키는 데 있어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지역마다 조금씩은 달랐을 삶을 그 지역 사람들 나름의 숨결로 읽어 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지역에서 통용되는 말은 그 지역의 자연과 어우러진 삶의 숨결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그만의 풍토를 담고 있다. 허수경의 시집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을 본 적이 있다. 앞부분에 표준말로 시를 쓰고, 이어 시인의 고향인 진주 말로 번역(?)한 시를 배치해 놓고 있다. 진주 말로 쓴 시는 표준말로 쓰인 시를 참고로 하지 않는다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바로 그 이해의 간극 속에 진주 사람만의 삶이 녹아 있다고 보아야 한다.
한데 아쉽게도 사투리가 갖고 있는 풍부한 어휘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사투리를 잃어 간다는 것은 우리의 삶이 이제 자연과 멀어져 가고 있고, 우리의 삶과 문화를 풍요롭게 해 주었던 풍토를 잃어 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현상의 배후에는 중앙집중형 사회시스템이 한몫 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중앙집중화 현상은 수직화의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문화에 있어 우열개념까지를 포함하는 이 같은 수직화는 치명적이다. 문화는 끊임없이 분화와 통합을 반복한다. 분화는 문화를 풍요롭게 만들고, 수평적 통합은 새로운 분화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수직적 통합은 문화적 분화를 막아 궁극에는 문화를 사막화한다. 수직적 문화 통합 속에서는 분화의 소산인 사투리도 위기에 몰릴 수 있다. 언어는 공동체의 정신이고, 삶이다. 각 지역의 말이 갖고 있는 풍부한 어휘의 소멸은 자연과 맞닿은 삶을 표현해 주는 상징체계의 소멸이자, 다채롭고 풍요로운 문화적 자산의 멸실을 의미한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말들을 곱씹어 보라, 얼마나 아름다운 삶의 결들이 그 안에 켜켜이 쌓여 있는가!
-천세진, <사투리가 주는 즐거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