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ARI의 희로애락

※아래 글은 언어영역 문제 출제를 위해 원문을 제가 직접 재구성한 것이므로 원문의 의도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위 글의 내용과 원문의 내용이 다를 경우 원문 저자들의 깊은 양해를 구합니다.
※만약 아래 글이 자신의 의도를 심하게 왜곡한 글이라 생각하는 원문 저자들은 저에게 연락 하시어 삭제 요청을 하시면 아래 글을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글의 내용에 제 지식 부족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 내용을 댓글로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글은 모두 교육청 모의고사나 출판사 모의고사 또는 문제집에 지문으로 제가 사용한 것이며, 제 허락 없이는 상업적 이용이 불가함을 밝혀 드립니다.

원자는 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원자는 에너지를 갖고 있고, 그 상태는 전자들의 에너지 상태에 의해 정해진다. 전자들의 에너지 상태가 가장 낮아 안정되어 있을 때 전자들이 ‘바닥상태’에 있다고 하며, 이때 원자도 바닥상태에 있게 된다. 전자들의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가 하나이므로 원자의 그것도 하나여야 하지만, 핵의 자기모멘트까지 고려할 경우 바닥상태가 여러 개일 수 있다. 다만 그들 사이의 에너지 차이가 아주 미세하여 흔히 무시되었다. 그러나 그 미세한 차이가 시간의 기준 설정에는 긴요하게 쓰인다. 왜냐하면 그 사이에서 ‘시계전이’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세슘원자의 경우 바닥 상태는 2개이다. 이제 전자들의 에너지 상태가 가장 낮은 세슘 원자를 ‘바닥상태1의 원자’, 그보다 높은 세슘원자를 ‘바닥상태2의 원자’라 하자. ‘바닥상태1의 원자’가 ‘바닥상태2의 원자’로 변하면, 즉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에 있는 전자들이 그보다 에너지 상태가 높은 바닥상태로 변하면 ‘시계전이’가 일어났다고 한다. 이때 일정한 복사선이 흡수되어야 하며, 1967년 국제도량형회의에서는 그 복사선이 91억9,263만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린 시간을 1초라 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 복사선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를 만들어 1초를 생성하는 장치인 원자 시계가 제작되었다.
그런데 원자 시계라 해도 1초를 완벽하게 만들 수는 없고 그에 ‘가까운’ 1초를 만들어 낼 수 있을 뿐이다. 즉 오차가 있는 것이다. 세계 각국은 그것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얼마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원자 시계 ‘KRISS-1’도 그 노력의 결실 중에 하나로서, 세계적으로 열 손가락에 꼽힐 만큼 정확도가 높다. ‘KRISS-1’은 어떻게 정확성을 높였을까?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세슘 원자들이 ‘바닥상태1의 원자’로 있어야 한다. 재래식 원자 시계는 다양한 상태에 있는 원자들 중에서 적당한 원자를 골라내는 방식을 이용하지만 ‘KRISS-1’은 원자들을 아예 적당한 상태로 만드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더 많은 원자들에서 시계 전이가 일어나 좀더 정확한 1초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어떻게 세슘원자들을 ‘바닥상태1의 원자’들로 만들 수 있을까? 전자는 안정된 에너지 상태, 즉 ‘바닥상태’에 있다가 에너지를 얻으면 ‘들뜬상태’가 된다. 들뜬 상태에 있는 전자는 불안정하여 언제나 바닥상태로 돌아가고자 한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세슘원자를 ‘바닥상태1의 원자’로 바꿀 수 있다. 전자들이 ‘바닥상태1’에 몰려 있는 세슘원자(바닥상태1의 원자)와 그 보다 에너지가 높은 ‘바닥상태2’에 전자가 몰려 있는 세슘원자(바닥상태2의 원자)가 섞여 있기 마련이다. ‘바닥상태2’에 있는 전자들만을 들뜨게 하는 레이저를 쏘아주면 그 전자들은 들뜬 상태였다가 떨어진다. 이때 그 전자들 중에 몇몇은 원래 있던 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바닥상태1’로 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레이저가 계속 작용하기 때문에 ‘바닥상태2’로 되돌아간 전자들은 그 곳에 있지 못 하고 앞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언젠가는 ‘바닥 상태1’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모든 세슘원자는 ‘바닥상태1의 원자’로 된다. 이것을 ‘광펌핑’ 방식이라 한다.
한편 ‘KRISS-1’은 또 다른 과정으로 시계의 정확성을 한층 높였다. 복사선은 자기장, 온도, 빛, 중력 등 10여 가지의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 ‘KRISS-1은 이 문제를 해결했던 것이다. 자기장의 경우를 예로 그 방법을 알아 보자. 우선, 강하면서도 계속 변하는 지구 자기장은 차단했다. 그런 다음에 인간이 제어할 수 있는, 미세하고 균일한 자기장을 원자의 경로에 만들어 주면 그 자기장의 세기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 후 원자의 복사선이 자기장에 의해 바뀌므로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주파수에 자기장에 의해 변화한 값을 빼주면 결국 자기장의 영향이 없는 원자 복사선의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의한 주파수 변화값이 제거된 1초에 근접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 결과 30만년에 1초 정도의 오차만 발생할 정도로 그 정확도를 높였다.

-권택용 <크리스 원>에서

Posted by popari